MATLAB에서 지원하는 Software Defined Radio 관한 정보들

 

Supported hardware

https://kr.mathworks.com/help/comm/supported-hardware-software-defined-radio.html

 

Communications Toolbox supports HW

USRP 관련

NI와 Ettus Research USRP 디바이스의 차이

https://www.ni.com/ko-kr/innovations/white-papers/19/what-is-the-difference-between-ni-and-ettus-usrps.html

 

NI와 Ettus USRP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무선 시스템의 설계, 프로토타이핑 및 배포에 사용되는 NI와 Ettus Research USRP 디바이스의 주요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www.ni.com

NI가 Ettus를 인수하면서 Ettus의 USRP 제품을 NI에서 판매 中

 

NI의 USRP는 NI 홈페이지에 가격정보까지 다 나와있으며 온라인으로 구매 가능

 

참고 : https://www.ni.com/ko-kr/shop/hardware/products/usrp-software-defined-radio-device.html

 

* 여기서 주의할 점은 USRP 2900, USRP 2901 제품의 경우 MATLAB이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됨

 

그 외 SDR 지원 보드(MATLAB 기준)

 

- ADI RF SOM radio HW

- ZC706 radio HW

- ZCU102 radio HW

- ZedBoard

 

https://kr.mathworks.com/help/supportpkg/xilinxzynqbasedradio/ug/hardware-and-software-requirements.html#

 

Hardware and Software Requirements - MATLAB & Simulink - MathWorks 한국

다음 MATLAB 명령에 해당하는 링크를 클릭했습니다. 명령을 실행하려면 MATLAB 명령 창에 입력하십시오. 웹 브라우저는 MATLAB 명령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kr.mathworks.com

 

 

참고 :

https://kr.mathworks.com/help/supportpkg/xilinxzynqbasedradio/ug/guided-host-radio-hardware-setup.html

https://kr.mathworks.com/help/supportpkg/xilinxzynqbasedradio/ug/guided-host-radio-hardware-setup.html

* 본 포스트는 K-MOOC 온라인 강좌에서 고려대학교 고영채 교수님의 강좌인 이동통신공학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해당 강좌를 참고해주시고,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세요. 바로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oreaUnivK+ku_eng_001+2020_A07/about 

 

이동통신공학Ⅰ

 

www.kmooc.kr

 

Small scale channel model

instantaneous한 파워 변화를 고려한 채널 모델

small scale channel model에서는 크게 delay spread와 doppler spread 두가지 현상을 바라봄

 

- delay spread : frequency가 선택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아니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똑같은 영향을 미칠 것인가.

- doppler spread : 수신된 신호의 파워 값이 변화되는데 이 변화가 빠르냐 느리냐를 좌우

 

 

Delay Spread

무선 이동통신에서는 아래 그림처럼 이동통신 환경에서 reflection, diffraction, scattering의 현상으로 인해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하나의 신호만 오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multi path를 통한 다중 신호가 수신됨.

impulse signal을 예로보면, impulse signal s(t)는 delta(t)라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을 했을 경우 수신단에서 delta(t-tau), 1/2*delta(t--2tau),...의 4개의 impulse 신호를 수신단에서 수신함.

wireless channel을 LTI system이라고 가정하면 impulse signal을 전송했을 때 수신한 신호는 impulse response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 signal이 impulse를 보냈을 때 수신된 신호이므로, 이것을 impulse response h(t)라고 놓고 h(t)는 아래 그림과 같이 4개의 서로 다른 impulse signal이 서로 다른 delay와 amplitude 값을 가지게 됨

이러한 신호들이 delay되서 들어오면, 신호가 겹치는 부분들이 생기는데 이렇게 현재 수신된 신호가 이전 신호와 서로 겹쳐서 내가 받은 신호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현상이 바로 Inter symbol interference

delay spread에 비해서 T 값이 작거나 비슷하면(pulse의 폭이 좁으면) ISI에 대한 영향이 심각하고

delay spread에 비해 T 값이 크면(Pulse의 폭이 크면) ISI에 대한 영향이 작을 것임

 

이를 modulation과 연관짓는다면 아래의 수식의 관계를 가짐

Coherent bandwidth : 시간적으로 말하는 delay spread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해석하여 H(f)가 ISI에 심각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다시말해 채널이 flat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의 통계적 측정값

 

Frequency Flat Fading : 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서 fading이 나타나는 현상

Frequency Selective Fading : Symbol duration이 좁아서(T가 작아서) 주파수가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은 현상

 

ISI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있지만 multi-carrier transmission 방법을 알아볼 것임

가장 유명한 multi-carrier 방식으로 OFDM이 있음

 

 

 

 

Doppler Spread

* 본 포스트는 K-MOOC 온라인 강좌에서 고려대학교 고영채 교수님의 강좌인 이동통신공학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해당 강좌를 참고해주시고,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세요. 바로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oreaUnivK+ku_eng_001+2020_A07/about 

 

Modem Architecture

 

RF Modem : 고주파 대역을 다루는 회로로 구성된 모뎀

Analog Modem : RF 신호를 아날로그 단으로 다운컨버팅 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로 업컨비팅하는 부분

Baseband Modem : 디지털 신호 처리, 신호 압축 등을 수행하는 부분

 

PA : Power amplifier

LNA : Low noise amplifier

 

 

CNR(Carrier-to-noise power ratio)

No :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단위 W/Hz, 1Hz 당 노이즈 파워의 분포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나타내는 값

Ts : symbol duration

Rs : symbol rate, 단위 symbol/sec

 

노이즈의 총 파워 : NoBw, 1Hz 당 노이즈가 가지고 있는 noise power spectral density에다가 해당 노이즈가 차지하고 있는 대역폭만큼 곱함

 

Energy는 전력 곱하기 시간.

그러므로 Pr은 Energy 나누기 하나의 심볼이 차지하고 있는 시간으로 나눠주면 이 파워를 표시할 수 있음

 

SNR(Signal-to-noise power ratio)

- SNR과 CNS 간의 관계식

SNR : Es / No

노이즈의 대역폭 Bw가 대체적으로 1/Ts, 즉 symbol rate R과 거의 같기 때문에 CNR과 SNR 값이 같다고 함

Noise Figure

Noise Power

항상 존재하는 Noise power, Thermal noise라고 함

열이 존재하고 전류가 흐르는 이상 항상 존재하는 파워 노이즈가 존재

K_B는 볼츠만 상수, T는 캘빈단위의 온도

 

Link Budget

Link Budget은 SNR 값인데, 송신단에서 송신을 했을 때 여러가지 path loss를 모두 고려한 다음에 계산된 SNR을 Link budget이라 함

 

그림 출처 : https://academy.infinetwireless.com/en/online-education/wireless-networking-fundamentals/8

 

 

Link Budget은 엔지니어가 특정 거리에서 수신기에 필요한 감도(Receiver Sensitivity)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값

현재까지 언급한 Link budget은 Instantaneous하게 변하는 신호파워를 고려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area mean 값만 고려한 것(Average Power)

여기에 shadowing 현상까지 고려한다면 link budget 값에다 shadowing factor로 인해 발생하는 값을 더하면 link budget에 shadowing 현상을 고려한 link budget 값을 구할 수 있을 것임.

 

 

Receiver sensitivity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어느 정도까지 되어야 하는가 바라보기 위한 성능 지표

 

 

Outage Probability

수신된 SNR 또는 CNR 값이 어떤 특정한 threshold보다 낮으면 통신이 두절된다. 이런 현상을 통신에서 outage가 발생했다고 하는데, 이 outage를 확률적으로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것.

 

- Noise Outage Probability : 10^(-3)과 같이 특정한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CNR 값이 대응되는 CNR 값보다 작을 확률

 

 

- Co-Channel interference outage probability : 캐리어파워와 간섭 파워의 비율을 나타내는 CIR 값이 대응되는 CIR 값보다 작을 확률

중간에 하나의 cell과 frequency reuse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쓰고 있는 주변의 6개 cell.

위의 식처럼 path loss만 고려한 것이 아닌, CIR에 대해 shadowing을 고려할 경우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되어 approximation을 통해 outage probability를 구함

-> 대부분 이러한 문제는 확률적인 문제로서 접근해서 풀 수 있음

* 본 포스트는 K-MOOC 온라인 강좌에서 고려대학교 고영채 교수님의 강좌인 이동통신공학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해당 강좌를 참고해주시고,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세요. 바로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oreaUnivK+ku_eng_001+2020_A07/about 

 

Path Loss Model

Path Loss : 거리에 따라서 얼마만큼 수신된 파워가 감소되는지에 대한 함수 관계

 

Free space path loss

수신기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Pt일 때 거리가 d만큼 떨어져있다면 d의 Beta 제곱 만큼 감소한 Pr을 받음

B는 path loss exponent(경로 감쇄 지수)라 하며 환경에 따라 2~8. (자유 공간에서 2. 실제 환경에서는 최대 8.)

k를 풀어서 쓰면,

lamda_c : 파장

P_t : Transmitter Power

P_r : Receiver Power

G_T : Transmitter 안테나 Gain

G_R : Receiver 안테나 Gain

L_rx : Implementation loss(모뎀 구현시 발생하는 loss)

 

Power 단위 : joule/sec(J/s) or Watt(W)

 

Unit Step signal일 때 path loss model


Two-ray path loss model

LoS(Line of Sight) signal과 ground에 한 번 부딪쳐서 오는 신호만 고려한 상황

R은 ground reflection coefficient

 

그 외에도 Okumura model, Hata model, Piecewise linear model 등이 존재


Shadowing

Path loss model은 수신 전력과 송신 전력간에 거리에 따른 관계식

그렇다면, 거리가 같은데 위치가 다른 곳 두 곳에서 평균 전력을 측정해보면 같으냐? -> 실제로 측정했더니 다르다.

그 다름에 대한 모델링을 나타내는 것이 shadowing

Epsilon의 분포는 gaussian 분포를 따르고 mean 값이 0이고 분산값이 sigma_s의 제곱인 분포도를 따름

Shadow standard deviation이 5~12이므로, 거리가 같은 곳에서도 서로 5dB에서 12dB까지 다를 수 있음

 

Local Mean에 대한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dBm 단위에서 local mean 값은 gaussain 분포를 따르는데,

이것을 watt 단위로 변형시켰을 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야함. 확률 이론을 참고, 편미분을 취하면 됨

4G LTE에서의 Path Loss Model

 

 

* 본 포스트는 K-MOOC 온라인 강좌에서 고려대학교 고영채 교수님의 강좌인 이동통신공학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해당 강좌를 참고해주시고,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세요. 바로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oreaUnivK+ku_eng_001+2020_A07/about 

 

Channel Models

receiver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 scattering, diffraction, reflection의 3가지 요소에 의해 하나의 신호가 아닌, 여러 개의 신호를 수신함. 게다가, 만약 수신자가 계속 움직이고 있다면(mobility 존재) 주변에 있는 환경은 계속해서 변화되어서(Scattering, diffraction, reflection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계속해서 달라짐

 

scattering(산란) : 어떤 매질을 직선 경로로 통과하는 빛, 소리 등의 복사가 하나 이상의 국부적 불균일성에 의해 경로를 벗어나는 현상

diffraction(회절) : 음파나 전파 또는 광파 등이 장애물이나 좁은 틈을 통과할 때, 파동이 그 뒤편까지 전파하는 현상

reflection(반사) : 파동이 다른 두 매질의 경계에서 방향을 바꿔 진행하는 물리 현상

통신공학에서는 이렇게 변화하는 특성들을 wireless channel이라 하여 black box 모델로서 표현

 

 

Digital Communications(디지털 통신)

 

Signal Power

Instantaneous power : 순간에 측정한 파워, 매 시간에 따라 변함

Average power : 시간적으로 average를 취한 power

 

 

Mathematical Model of Wireless channels

신호를 받았을 때(r(t)) AWGN을 제거하고, f에 대한 역함수를 취하면 s(t)를 그대로 복원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의 목적은 무선 채널 모델인 f 함수를 알아내는 것이며, f라는 함수를 알아내는 것이 채널을 예측하는 과정.

 

채널 모델 Categorization

평균 전력(Average Power)에 따른 채널 모델 상황

Instantaneous Power에 따른 채널 모델 상황

Delay Spread : 무선 전파의 다중경로(Multipath)환경에서 각각 다른 경로를 거치게 된, 첫 번째 수신된 전파와 그 다음 반사되어 오는 수신전파 사이에 지연된 시간

scattering, diffraction, reflection이 있는 환경에서, 신호를 하나 보냈음에도 수신단에서는 N개의 서로 다른 delay를 가진 여러 개의 신호(t, t-τ1, t-τ2...)를 받을 것임

 

Doppler Spread : 도플러 효과(어떤 파동의 파동원과 관찰자의 상대 속도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바뀌는 현상) 등에 의해서 주파수 변동/퍼짐/늘려짐을 겪게되는 현상

즉, mobility가 존재하는 node의 속도에 비례해서 변이가 일어남

 

Average Power와 Instantaneous Power가 모두 고려된 상황에서의 Received Signal Power 그림

 

궁극적인 목표.

 

Large scale fading model : average power에 대한 채널 모델

즉, path loss와 shadowing을 모델링하는 것

 

Small scale fading model : Instantaneous power에 대한 채널 모델

주파수 성분마다 다른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frequency flat이냐 frequency selective냐를 볼 것이고 추가로 fast fading이나 slow fading이냐를 볼 것인데, 이들을 고려한 모델링.

즉, 받은 신호의 주파수 성분, 다시 말해 주파수대역 마다 다른 영향을 받는다면 frequency selective fading이라고 말을 하고 같은 영향을 받는다면 frequency flat fading이라고 함

* 본 포스트는 K-MOOC 온라인 강좌에서 고려대학교 고영채 교수님의 강좌인 이동통신공학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해당 강좌를 참고해주시고,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면 말씀해주세요. 바로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oreaUnivK+ku_eng_001+2020_A07/about 

 

Power Efficiency

주어진 전력에서 얼마나 효율적인 통신을 할 수 있을까?

즉, BER(Bit Error Rate) 또는 SER(Symbol Error Rate)라 하는 성능적인 측면에서 어떤 주어진 전력을 가지고 어떠한 통신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안테나 종류

Isotropic : 마치 구처럼 모든 방향으로 방사

omni-directional : 본인 위치를 통해 평면의 360도로 커버하고 그 아래로까지 전달

Directional : 어떤 특정한 방향성으로만 전달

 

Omni-directional 안테나에 쓰인 파워를 directional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각도만큼, 각도의 배수만큼,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음.

 

Path-loss : 경로 감쇄, 거리에 따른 파워의 감소

Free space에서 송신 전력과 거리간의 관계는 아래 식과 같음

 

SNR(Signal-to-Noise Ratio)

SNR : 수신된 신호 전력과 잡음 전력의 비율

bit의 error에 대한 쉬운 예시.

내가 얼마만큼 목소리를 크게 냈는가(신호의 세기, 송신 파워)와 주변 사람들의 목소리(Noise)의 비율에 따라 달라짐

 

BPSK의 Bit Error Rate, 즉  bit가 얼마나 오류가 날 것인가를 확률적으로 계산해보면 아래 수식과 같으며, SNR에 대한 BER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아래 그림과 같음, 여기서 γ(gamma)를 SNR이라고 함

BPSK BER v/s SNR

 

M-ary QAM에서의 Symbol Error Rate

8월 26일에 총장님과 교수님들의 30주년 중간 보고 회의가 있다고 한다.

 

약 1년 간 연구/개발한 결과물의 중간 점검이랄까?

(기간으로 따지면 최종 시연 1달 전 마감 회의 느낌이지만..)

 

회의를 위한 영상 및 발표자료를 교수님께 요청받았다.

 

세미나 중간 중간 보고했던 진행 상황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고,

 

현재까지 개발한 결과들을 취합하여 영상을 촬영해본다.

 

본의아니게 우리 미션이 군집드론이 추가되버려서

 

생각보다 할 일이 많아졌다.

 

영상 제작이 목적이므로,

 

단일드론 결과물들은 rosbag 파일을 활용하였다.

 

군집드론은 LED 빛이 두드러지게 보여져야해서

 

저녁 이후부터 촬영하다보니 시간이 금방 새벽을 넘어갔다.

 

사실, 타학부 교수님이 지도학생들과 작품 촬영 중에 있으셔서 기다린 점도 없잖아 있다.

(밤 늦게까지 학생들과 함께 연구/개발하시는 모습... 참 대단하시다.)

 

촬영이 다 끝나고 교수님께 영상을 보낸 후 돌아가는 길.

 

이런 날은 역시 뒤풀이가 빠질 수 없다.

 

코로나로 인해 가게들이 문을 일찍 닫다보니

 

그냥 편의점에서 맥주를 사와서 먹는다.

(당연히 열심히 한 날에는 무엇이든 사준다.)

지금까지 열심히 같이 잘 개발해왔다는 칭찬과 함께

 

술자리의 필요성, 협상의 중요성, 말(言)의 힘, 제테크에 대한 관심 등 인생사 팁들을 준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주고 받다보니 어느덧 2시 즈음이 돼서

 

알딸딸한 상태로 귀가한다.

 

우리학교의 30주년 행사... 잘 끝맺을 수 있으면 좋겠다.

 

 

 

 

'Research > Proj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o pitch estimation  (0) 2021.07.19
pyaudio  (0) 2021.06.21

앞서, librosa, pyaudio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마이크로부터 audio를 실시간으로 추출, time/frequency domain에서 audio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물놀이 악기들의 소리를 주파수 Spectrum, Mel Spectrum 등에서 분석해보았으나 각각의 악기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주파수의 영역이 넓어 분류하기가 어려웠다. 대안으로 사물놀이 공연 전체의 beat/tempo 또는 pitch에 매칭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Google의 tensorflow model hub를 살펴보던 중 SPICE(Self-Supervised Pitch Estimation)이라는 모델을 찾았다. SPICE는 monophonic audio의 fundamental frequency를 추정하는 모델, pitch 추정 모델,이다. SPICE는 annotated data가 없을 때 pitch 추정 모델을 훈련하는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사람이 일반적으로 absolute pitch보다 relative pitch를 훨씬 쉽게 추정할 수 있다는 observation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모델 구조 또한 그 영감을 반영하고 있다.) Deep learning 기반의 Pitch Estimation(예. CREPE) 알고리즘과 다른 점은 Annotated data가 없을 때, 즉 unlabeled data를 다루기 위하여 self-supervised learning 기법을 사용한 점이다.

* Self-supervised learning 기법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조를 확인

 

SPICE의 간략한 모델 architecture는 아래 그림과 같다. 모델의 Input은 Constant Q Transform으로 변환한 CQT 프레임이다. SPICE의 저자는 Constant Q Transform(CQT)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Indeed, the CQT filter bank computes a wavelet transform [16], and wavelets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present the class of locally periodic signals.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저자가 받은 영감을 모델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먼저, 2개의 CQT 프레임(pitch가 shifted된 frame과 아닌 frame)이 shared weighted를 갖는 2개의 Encoder에 input으로 넣어진다. Loss는 Encoder의 출력 간 차이가 상대적인 pitch 차이에 비례하도록 설계됐다. 즉, self-supervised learning에서 Pretext task(논문에서는 auxiliary task로 표현)에 해당하는게 바로 이 pitch difference를 추정하는 것이다.

Downstream task는 input 프레임에서 절대 pitch 값을 추정하는 pitch estim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더 상세한 내용은 저자의 논문을 읽어보기를..

Gfeller, Beat, et al. "SPICE: Self-supervised pitch estimation." IEEE/ACM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8 (2020): 1118-1128.

 

Simplified SPICE Model Architecture

구글에서는 SPICE를 Freddie METER에 실제로 사용 중에 있다고 한다.

https://freddiemeter.withyoutube.com/

 

 

Constant-Q Transform 참조

출처 : http://marte.dongguk.edu/files/research_444455285-Spectrum%20Analysis_Constant%20Q%20filter%20(5).pdf 

 

 

 

Self-Supervised Learning 참조

self-supervised learning이란 Labeling 작업에 들어가는 노력 및 비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

Unlabeled dataset을 input으로 받아 사용자가 정의한 문제(pretext task)를 network가 학습하게 하여 데이터 자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pretext task에서 나온 pre-training된 network를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풀고자 하는 문제인 downstream task에 transfer learning 하는 방법

출처 : http://dmqm.korea.ac.kr/activity/seminar/284

Self-Supervised learning - 그림 또한 위 글에서 발췌함

 

- Reference

https://blog.tensorflow.org/2020/06/estimating-pitch-with-spice-and-tensorflow-hub.html

https://ai.googleblog.com/2019/11/spice-self-supervised-pitch-estimation.html

 

http://dmqm.korea.ac.kr/activity/seminar/284

https://greeksharifa.github.io/self-supervised%20learning/2020/11/01/Self-Supervised-Learning/

https://hoya012.github.io/blog/Self-Supervised-Learning-Overview/

https://github.com/jason718/awesome-self-supervised-learning

 

'Research > Proj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주년 연구 중간점검과 간단한 뒤풀이  (0) 2021.08.27
pyaudio  (0) 2021.06.21

+ Recent posts